저서
- 『동아시아사 입문』(共著), 동북아역사재단, 2020.
- 『NOW JAPAN』(共著), 심미안, 2020.
- 『일본을 말하다』(共著), 경인문화사, 2014.
- 『(사료로 보는) 아시아사』(共著), 위더스북, 2014.
- 『오다·도요토미 정권의 사사(寺社)지배와 천황』,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, 2012.
- 『일본사의 변혁기를 본다』(共著), 지식산업사, 2011.
- 『아틀라스 일본사』(共著), 사계절출판사, 2011.
- 『한·일 역사과 교육과정 비교연구』 (共著), 경인문화사, 2010
- 『황국사관의 통시대적 연구』(共著), 동북아역사재단, 2009
- 『해외 문화도시 그리기: 일본 구마모토와 싱가포르』(共著), 전남대학교출판부, 2005.
- 『지역 교류 문화로 본 역사』(共著), 심미안, 2008.
- 『일본 역사서의 왜곡과 진실』(共著), 경인문화사, 2008.
역서
- 『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어떤 인물인가』, 위더스북, 2017.
- 『쇼군 천황 국민』(共譯), 서해문집, 2012.
- 『학살의 기억, 관동대지진』(共譯), 역사비평사, 2005.
논문(국문)
- 「1582년 本能寺의 變과 <兼見卿記> : 일본 中近世移行期 記錄文化의 特質」, 『일본역사연구』 56, 2021.
- 「豊臣정권의 神格化와 명예(功名) 추구: ‘개인’ 히데요시의 관점에서」, 『일본역사연구』 53, 2020.
- 「織田信長의 쇼군 追放 論理와 天皇」, 『東洋史學硏究』 147, 2019.
- 「‘公武體制’의 政治構造와 祈禱 ― 室町時代 새로운 政治體制像 試論 ―」, 『東洋史學硏究』 140, 2017.
- 「‘公武체제’의 論理와 座次儀禮 ― ‘血統’과 ‘器量’의 조화」, 『東洋史學硏究』 137, 2016.
- 「‘公武體制’의 政治理念-室町時代의 公과 武-」, 『역사교육』 133, 2015.
- 「일본 중‧근세사 연구의 전개와 특징」, 『東洋史學硏究』 133, 2015.
- 「일본 중세 국가론의 현황과 과제」,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편, 『일본비평』,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, 2014.
- 「織田정권의 ‘武家神格化’와 天皇」, 『역사교육』 121, 2012.
- 「織田政權의 公家政策과 ‘王權’-1581년 馬?를 중심으로」, 『東洋史學硏究』 115, 2011.
- 「무로마치 후기의 정치사상」, 김용덕 편, 『일본사의 변혁기를 본다,』 지식산업사, 2011.
- 「明治初 ‘創建神社’ 건립의 의미와 傳統」,『민주주의와 인권』10-1, 2010.
- 「豊臣정권의 推移와 ‘天皇’ -儀禮?祈禱의 측면에서」, 『일본역사연구』 31, 2010.
- 「히라이즈미 기요시의 중세상과 황국사관」, 김선민·박수철·민덕기·남상호·박진우 共著, 『황국사관의 통시대적 연구』, 동북아역사재단, 2009.
- 「일본 근대 ‘국가폭력’의 이념」, 전남대학교 5·18연구소 編, 『아시아의 민주주의와 인권』, 심미안, 2008.
- 「明治初 민중저항의 특질과 ‘國家神道’」, 『민주주의와 인권』 8-2, 2008.
- 「일본 “우익” 역사교과서의 중·근세像 -自己와 他者-」, 『일본역사연구』 27, 2008.
- 「豊臣정권의 天皇觀과 ‘武威’」, 『歷史敎育』 105, 2008.
- 「織田 정권의 神社 정책과 吉田社」, 『역사학연구』 32, 2008.
- 「明治初 ‘浦上탄압사건’과 ‘國家神道’」, 『민주주의와 인권』 7-2, 2007.
- 「16세기 일본의 전국시대와 도요토미 정권―’임진왜란’의 재검토」, 역사학회 編, 『전쟁과 동북아의 국제 질서』, 일조각, 2006.
- 「일본 후소샤 역사교과서의 논리와 천황관」, 『역사학연구』 26, 2006.
- 「교양 역사 강좌의 개설·운영 현황 및 개선방안」, 교육발전연구원 著, 『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분과 학문의 성찰』, 전남대학교출판부, 2005.
- 「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중,근세사 서술과 역사인식 -후소샤(扶桑社) 교과서를 중심으로-」, 『한국사 연구』 129, 2005.
- 「近世初 일본의 『鎖國』과 神國思想」, 『日本語文學』 23, 2004.
- 「說林 : 豊臣秀吉은 왜 將軍(쇼오군)이 되지 못했나 -일본 역사의 한 단면과 특질-」, 『전남사학』 21, 2003.
- 「일본문화사의 흐름과 주요 관련 저서 분석」, 『한국문화사 연구의 방향 모색』(한국사론 35), 국사편찬 위원회, 2002.
- 「韓國 日本學의 動向」, 『韓國의 日本硏究 : 2001년』, 서울대 국제지역원 일본 자료센터, 2001.
- 「室町·戰國時代 「記錄」과 『大乘院寺社雜事記』」, 『東亞文化』 39, 2001.
- 「日本 近代 西田 ‘文化史學’의 성립과 역사서술」, 윤세철교수정년기념역사학논총간행위원회 엮음, 『시대 전환과 역사인식』, 솔출판사, 2001.
- 「戰國時代 近江守護 六角氏의 <地域統合> 過程-延曆寺와의 關係를 중심으로」, 『歷史學報』 170, 2001.
- 「織豊政權의 寺社支配에 대하여 : 硏究動向과 課題」, 『東洋史學硏究』 73, 2001.
- 「韓國의 日本史 硏究動向-硏究論文을 중심으로」, 『韓國의 日本硏究 : 2000년』, 서울대 국제지역원 일본 자료센터, 2000.
- 「韓國 歷史學界의 回顧와 展望 : 日本前近代」, 『歷史學報』 167, 2000.
- 「戰國時代 近江 守護 六角氏의 地域 統一過程 : 山門對策을 中心으로」, 서울大學校 碩士學位論文, 1994.
- 「硏究動向 : 戰國大名硏究의 動向과 課題 -그 性格糾明을 中心으로 -」, 『서울大 東洋史學科論集』 17, 1993.
논문(외국문)
- 「韓国における日本史研究の過去と現在」, 『日本史研究』 705, 2021.
- (발표문)「後醍醐天皇畫像にみられる「異形」と織田信長」, Kanagawa University-UBC Joint Symposium “NON-WRITTEN MATERIALS FOR NEW POSSIBILITIES OF JAPANESE/ASIAN STUDIES”, 2016.
- 「‘豊臣秀吉の神格化とその意味-」, 『訪日學術硏究者論文集』 21, 2015.
- 「織豊政權の寺社支配 : その構造と理念」, 京都大學 博士學位論文, 2000.
- 「織田政權における寺社支配の構造」, 『史林』 83-2, 2000.
- 「豊臣政權における寺社支配の理念」, 『日本史硏究』 455, 2000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