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로가기 메뉴
본문 바로가기
푸터 바로가기

교수소개

교수진

구범진 교수(1969. 07. 17 생), 2007. 3. 1 부임

丘凡眞 ; Koo, Bumjin

전공중국근세사
주소14동 414호
연락처880-6193
이메일koobum@snu.ac.kr

저서

  • 『아시아를 상상하다: 닫힘과 열림』(共著), 진인진, 2023.
  • 『1780년, 열하로 간 정조의 사신들: 대청 외교와 『열하일기』에 얽힌 숨겨진 이야기』, 21세기북스, 2021.
  • 『내일을 읽는 한·중관계사』(共著), 알에이치코리아, 2019.
  • 『병자호란, 홍타이지의 전쟁』, 까치, 2019.
  • 『조선시대 외교문서』, 한국고전번역원, 2013.
  • 『吏文 역주(하)』, 세창출판사, 2012.
  • 『吏文 역주(중)』, 세창출판사, 2012.
  • 『吏文 역주(상)』, 세창출판사, 2012.
  • 『청나라, 키메라의 제국』, 민음사, 2012.
  • 『동아시아 국제질서 속의 한중관계사: 제언과 모색』(共著), 동북아역사재단, 2010.
  • 『수교와 교섭의 시기 한러관계』(共著), 선인, 2008.
  • 『명청시대 사회경제사』(共著), 이산, 2007.
  • 『충돌과 착종의 동아시아를 넘어서: 근대전환기 동아시아의 자기인식과 대외인식』(共著), 성균관대학교출판부, 2007.
  • 『근대전환기 동아시아 삼국과 한국』(共著), 성균관대학교출판부, 2006.
  • 『인물로 본 문화』(共著),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, 2005.

역서

  • 『명나라의 정유전쟁』 1~4(형개 著, 共譯). 사회평론아카데미, 2024.
  • 『명나라의 임진전쟁』 1~5(송응창 著, 共譯), 사회평론아카데미, 2020~2021.
  • 『중국의 감춰진 농업혁명』(황쭝즈 著), 진인진, 2016.
  • 『국역 <同文彙考> 犯越 史料』 1~3(共譯), 동북아역사재단, 2008~2011.
  • 『최후의 황제들: 청 황실의 사회사』(이블린 로스키 저), 까치, 2010.
  • 『장제스(蔣介石) 일기를 읽다: 레이 황의 중국 근현대사 사색』(레이 황 著), 푸른역사, 2009.
  • 『쟁점으로 읽는 중국 근대 경제사 1800~1950』(필립 리처드슨 著; 共譯), 푸른역사, 2007.
  • 『국역 <同文彙考> 疆界 史料』(共譯), 동북아역사재단, 2008.

논문(국문)

  • 「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조선왕실 책봉 관련 滿漢合璧 문서 연구」,『규장각』 65, 2024.
  • 「1635-36년 後金의 政變과 汗-버일러 관계의 변화: 병자호란 발발의 배경과 관련하여」, 『동아문화』61, 2024.
  • 「명 영락제의 베트남 침공(1406-1407)과 『명태종실록』의 기록 조작」, 『명청사연구』 61, 2024.
  • 「홍무 3년(1370) ‘平定沙漠’ 詔書의 頒布와 詔書의 ‘언어’ 」(共著), 『역사문화연구』 88, 2023.
  • 「병자호란 종전 시 홍타이지의 국서 <定約條詔>에 대한 문헌적 고찰: 실물 문서와 청조의 만문・한문 기록물의 비교 분석」, 『동아문화』 59, 2021.
  • 「초기 고려-명 관계에서 사행 빈도 문제 ― ‘3년 1행’과 『명태조실록』의 기록 조작 ―」(共著), 『동양사학연구』 157, 2021.
  • 「초기 고려-명 관계에서 사행로 문제: 요동 경유 사행로의 개통 과정」(共著), 『한국문화』 96, 2021.
  • 「홍무 5년(1372) 명 태조의 고려에 대한 의심과 ‘힐난 성지’」(共著), 『명청사연구』 55, 2021.
  • 「1636년 <金國外藩各蒙古貝勒奉朝鮮國王書>의 서식과 인장: 실물 문서로 드러나는 병자호란 전야 후금・조선 관계의 이면」, 『동아문화』 58, 2020.
  • 「병자호란 전야 외교 접촉의 실상과 청의 기만 작전, 그리고 『청태종실록』의 기록 조작」,  『동양사학연구』 150, 2020.
  • 「崇德年間 淸朝의 朝鮮 王室 冊封과 冊封文書」,  『명청사연구』 52, 2019.
  • 「淸 乾隆 연간 外藩 宴禮의 변화와 乾隆의‘盛世’」,  『역사문화연구』 68, 2018.
  • 「병자호란 시기 강화도 함락 당시 조선군의 배치 상황과 청군의 전력」,  『동양사학연구』 141, 2017.
  • 「1780년대 淸朝의 朝鮮 使臣에 대한 接待의 變化」,  『명청사연구』 48, 2017.
  • 「병자호란 시기 강화도 함락 당일 염하수로의 조석과 조류 추산」(共著),  『한국과학사학회지』 33, 2017.
  • 「병자호란 시기 청군의 강화도 작전: 목격담과 조석·조류 추산 결과를 중심으로 한 전황의 재구성」,  『한국문화』 80, 2017.
  • 「‘중국’의 ‘경계’를 넘나드는 연구 지형: 현황과 발전 가능성」,  『역사학보』 231, 2016.
  • 「병자호란과 천연두」, 『민족문화연구』 72, 2016.
  • 「명・청 시기 세・역의 은납화와 은 재정의 ‘함정’」, 『관악사론』 2,  2016.
  • 「병자호란 당시 청군의 구성과 규모」(共著), 『한국문화』 72, 2015.
  • 「1911년 중국 天津의 외채위기와 長蘆 鹽政 -引岸 “官辦” 방안의 성립과 그 성격-」, 『사림』 50, 2014.
  • 「조선의 청 황제 성절 축하와 건륭 칠순 진하 외교」, 『한국문화』 68, 2014.
  • 「조선의 건륭 칠순 진하특사와 『열하일기』」, 『인문논총』 70, 2013.
  • 「1780년 열하의 칠순 만수절과 건륭의 ‘제국’」, 『명청사연구』 40, 2013.
  • 「(서평) 강진아 지음, 『동순태호: 동아시아 화교 자본과 근대 조선』」, 『경제사학』 53, 2012.
  • 「淸末 北洋陸軍의 편성 과정과 財源」, 『역사문화연구』 35, 2010.
  • 「淸 嘉慶~道光初 兩淮鹽商 沒落의 原因」, 『동양사학연구』 107, 2009.
  • 「19세기 盛京 東邊外 山場의 管理와 朝ㆍ淸 公同會哨」, 『사림』 32, 2009.
  • 「淸의 朝鮮使行 人選과 ‘大淸帝國體制’」, 『인문논총』 59, 2008.
  • 「1890년대 후반 淸의 러시아 인식: ‘聯俄論’을 중심으로」, 『中國學報』 57, 2008.
  • 「淸代 對러시아 外交의 성격과 그 변화: 締約大臣과 交換 條約文의 言語를 중심으로」, 『大東文化硏究』 61, 2008.
  • 「統計로 돌아본 東洋史學硏究: 제100집의 발간을 기념하여」, 『동양사학연구』 100, 2007.
  • 「淸代 ‘滿洲’ 지역 행정체제의 변화: ‘駐防體制’에서 ‘州縣體制’로」, 『동북아역사논총』 14, 2006.
  • 「嘉道期 鹽政의 危機와 淸朝의 對應: 長蘆鹽區의 경우」, 『명청사연구』 26, 2006.
  • 「<韓淸通商條約> 일부 條文의 해석을 둘러싼 韓-淸의 외교 분쟁」, 『大丘史學』 83, 2006.
  • 「한국사 서술과 역법문제」, 『역사교육』 94, 2005.
  • 「淸末 新政期 直隸의 鹽稅와 省財政」, 『역사문화연구』 朴星來敎授定年記念特別號, 2005.
  • 「19세기 전반 淸人의 朝鮮使行: 柏준(1844년)과 花沙納(1845년)의 경우」, 『사림』 22, 2004.
  • 「淸末 鹽稅의 構成과 規模: 長蘆鹽區의 경우」, 『동양사학연구』 88, 2004.
  • 「淸末 直隸의 自治財源問題와 鹽利」, 『中國史硏究』 30, 2004.
  • 「淸末 直隸 永平府의 鹽務改革과 그 意義」, 『명청사연구』 21, 2004.
  • 「淸末의 北洋新政 硏究: 直隸省의 鹽政改革과 財政問題」, 서울大學校東洋史學科博士學位論文, 2004.
  • 「淸末 新政期 直隸의 鹽利와 紳士層: 鐵路加價를 둘러싼 분쟁을 중심으로」, 『中國學報』 48, 2003.
  • 「天津의 行鹽制度와 淸末 新政期의 改革」, 『中國近現代史硏究』 20, 2003.
  • 「淸末 宣統 年間 直隸 口北의 鹽務와 蒙鹽公司」, 『中國學報』 45, 2002.
  • 「蒙元帝國期 ‘國王’의 政治的 位相」, 『서울大東洋史學科論集』 23, 1999.
  • 「北魏 拓跋族의 祭天儀式에 대한 一考察: 西郊祭天과 卽位告天의 分析을 중심으로」, 『서울大東洋史學科論集』 22, 1998.
  • 「젱크스(Jenks)의 幣制改革案(1904)과 淸末의 幣制 問題」, 『동양사학연구』 64, 1998.
  • 「베트남 陳朝(1225-1400) 沒落의 一要因에 對한 考察: ‘上皇制度’와 ‘皇室近親婚原則’의 崩壞를 中心으로」, 『서울大東洋史學科論集』 20, 1996.
  • 「1900年代初(1902-1904)의 幣制改革論과 그 意味」, 서울大學校 東洋史學科 碩士學位論文, 1996.
  • 「1920年代初 梁啓超의 科學認識과 東西文化觀: <<歐遊心影錄>>을 中心으로」, 『서울大東洋史學科論集』 18, 1994.
  • 「李覯(1009-1059) 經濟思想의 構造와 性格」, 『서울大東洋史學科論集』 15, 1991.

논문(외국문)

  • 「崇德元年(一六三六)の外藩蒙古會盟と丙子胡亂」(共著), 『史林』 100-6, 2017.
  • 「大淸帝國の朝鮮認識と朝鮮の位相」, 『中國史學』 22, 2012.
  • 「精琪幣制改革方案與晩淸幣制問題」, 『近代史硏究』 2005-3, 2005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