학위논문
학위논문
학사(21회~40회)
제21회 (1993년 2월) | 민병희, 漢初 政治過程과 黃老思想 -馬王堆老子乙本卷前古佚書의 政治思想을 中心으로- 김민화, 唐代 寺院經濟의 問題와 會昌廢佛事件에 대하여 단순배, 徐光啓(1562-1633)의 天主敎認識에 대하여 이광록, 明代 開中法의 崩壞過程과 그 원인 함형삼, 明末 蘇州地方의 民變 -1626年 開讀의 變을 中心으로- 김남태, 淸 乾隆期 淸水敎叛亂의 性格에 대하여 박소현, 『儒林外史』의 社會批判思想에 대하여 -紳士層의 科擧制度에 대한 意識構造와 관련하여- 공명성, 19세기 中葉의 農民鬪爭과 太平天國 -華中地方의 抗租·抗糧鬪爭을 中心으로- 손한섭, 民國初期 劉師復의 無政府主義 김용욱, 華興會와 黃興의 革命路線에 대하여 강진아, 省港罷工委員會와 廣東國民政府 -特別法庭問題와 廣州海關封鎖事件에서 나타난 갈등과 협조 김도일, 5·30運動과 上海工商學聯合會 -5·30運動의 性格과 관련하여 박희천, 馬日事變(1927.5.21)과 武漢國民政府 -武漢國民政府의 ‘支持基盤’과 ‘指導’의 문제와 관련하여- 류대일, 南京國民政府의 安內攘夷論에 대한 一考察 -成立의 現實的 要件을 中心으로- 강미영, 江西소비에트期 土地政策에 관한 一考察 -査田運動의 變化過程을 중심으로- 안도현, 1930年代 日本에서의 파시즘의 형성과 ‘革新派’의 性格에 대하여 -農村省官僚를 中心으로- |
---|---|
제21회 (1993년 8월) | 서정보, 中山艦事件과 北伐 |
제22회 (1994년 2월) | 고대중, 宋代 抗租鬪爭에 대한 地主層의 대응 -地主의 鄕村支配 시도와 관련하여- 고종훈, 中國共産黨의 減租減息政策과 統一戰線問題 -晉察冀邊區를 中心으로- 김민정, 長州藩 尊王攘夷運動의 轉換過程에 대한 고찰 김상래, 武漢政府時期 湖南農民運動과 中國共産黨 -그 役割과 限界를 中心으로- 김수홍, 胡惟用의 獄의 性格에 대하여 김우석, 淸末 劉師培의 政治思想 박철현, 國民革命期 武漢政府에서의 鄧演達의 役割 -三大政策의 理解를 中心으로 박현민, 上海事變과 南京政府의 抵抗政策 정동근, 富田事變을 통한 소비에트 區內 權力構造의 再編 지현기, 植木枝盛의 政治思想에 있어서의 國家論의 性格 -‘抵抗權’·’革命權’論을 中心으로 최병헌, 開讀의 變의 性格에 대하여 |
제22회 (1994년 8월) | 김지로, 李大釗의 맑시즘受容에 있어 아니키즘의 影響 박해극, 淸日戰爭後 反基督敎 運動의 性格 -1899년 山東省 平原懸 事件을 中心으로 부신, 商앙의 重農抑商思想 -『商君書』를 中心으로- 이종필, 福建事變(1933.11-1934.1)의 歷史的 性格 전동현, 中國 抗日民族統一戰線 形成에 있어서 코민테른의 役割 정순길, 陳炯明(1878-1933)과 聯省自治論 -孫文과의 關係를 中心으로- 최철우, 1881년 政變期 大외重信의 立憲論과 그 歷史的 意味 |
제23회 (1995년 2월) | 강동현, 國民黨 改造派의 政治活動과 그 性格 -北平擴大會議(1930)를 中心으로- 김경모, 徐光啓(1562-1633)의 後金對備策 김현숙, 蘇州民變과 織傭의 役割 김호성, 明治14年政變의 基本性格 -大외重信의 政黨內閣制構想을 中心으로- 신경진, 中國民主同盟의 活動과 그 性格 오응진, 西安事變의 平和的 解決 -張學良·楊虎城의 役割을 中心으로- 윤대영, 武士團勢力의 成長과 後白河上皇期의 基本性格 이준희, 東晉政權成立期 江南土着勢力의 政治的 動向 이진구, 第3黨 初期의 對共産黨關係에 대하여 장철주, 大正政變期(1911-1913)의 政治狀況 -山懸有朋의 政治的 役割을 中心으로- 조진용, 幸德秋水의 社會主義 思想과 「志士仁人」의 性格 최용준, 上海 小刀會叛亂과 列强과의 初期對外關係 -叛亂의 長期持續要因에 대하여- 한승현, 17세기 福建에서의 定期市 發展과 抗租 -寧化懸 黃通의 抗租를 中心으로- |
제23회 (1995년 8월) | 강현철, 西安事變의 平和的 解決과 國民黨政府의 事後處理에 대하여 박인준, 國民革命期 敎會學校와 敎育權 回收運動 오승연, 擁正期(1723-1735) 秦摺制度의 政治的 機能 오태영, 李大釗의 初期思想과 맑스主義의 受用 이성원, 中國古代史官의 位相變化에 대하여 西周春秋期’巫·史’槪念을 中心으로- 이외경, 洪仁간(1823-1864)의 改革意識의 分析 |
제24회 (1996년 2월) | 강혜정, 國民會議促成運動의 構圖 -上海國民會議促成會를 중심으로- 김영근, 中國民權保障同盟(1932-1933)의 活動과 早期解散의 要因 박인원, 足尾鑛毒抗拒運動의 성격에 대한 再檢討 -전개과정 및 좌절요인을 중심으로- 배재범, 第1次 國共合作時期 國民黨 左派의 政治的 性格에 대하여 -左·右派의 權力鬪爭過程을 中心으로- 손종민, 中國 新石器時代 生殖崇拜의 表現과 意味 심정섭, 內村鑑三(1861-1930)의 국가관 형성과정에 대한 일고찰 이강표, 4·12政變에서의 청방의 활동 이은경, 王韜(1828-1897)對外認識의 형성과 특징 이지숙, 淸末 女學生의 사회세력 등장배경에 대하여 이호경, ‘國家社會主義’理論과 日本國家社會黨(1932-1933) 전형구, 北一輝(1883-1937) 思想의 性格 |
제24회 (1996년 8월) | 강기훈, 레조(黎朝) 타인·똥(聖宗)의 유교화 정책에 대하여 강동국, 東晉 初期 政治의 展開와 北方流民集團 곽복희, 보통선거 운동의 의의와 한계 김진태, 淸初 綠旗兵의 成立過程과 機能에 대한 再檢討 박 범, 天京出走 이후 石達開의 독자활동에 대한 고찰 -石達開의 入蜀戰略과 西南 少數民族과의 관계를 중심으로- 조윤호, 淸末民國初期 女性의 地位變化 -婚姻 및 家族關係를 중심으로- |
제25회 (1997년 2월) | 강승확, 森有禮(1847-1889)의 文明開化意識에 대한 考察 강태웅, 幕末維新期 薩摩藩의 藩論變化에 대한 一考察 김강인, 辛亥革命期 浙江 光復會의 활동 김범성, 洪亮吉(1746-1809)의 인구문제 인식에 대한 검토 김철용, 遵義會議와 毛澤東의 黨內地位 – 黨指導部의 所在와 관련하여 김형준, 南京政府下의 經濟政策 김효소, 南京敎難과 徐光啓 – 辨學章疎를 통한 護敎意志와 政治理想 박현희, Lansig·石井 協定의 一考察 – 協定에 대한 해석상의 差異問題와 이를 둘러싼 美日關係를 중심으로 이명진, 福澤諭吉의 ‘學問’觀 – 學者職分論을 중심으로 이승준, 五四運動時期 학생운동 세력의 성격 조영헌, 明初 運河의 開通과 그 社會經濟的 意義 홍정아, 東晉에서의 荊·揚葛藤과 流民集團 |
제25회 (1997년 8월) | 고성표, 康有爲의 大同思想에 관하여 – 가족제도 철폐와 공유제론을 중심으로 남은희, 東晉 中期 세력균형의 파괴과정과 桓溫 박세민, 淸朝 地丁銀制 成立의 背景 송욱항, 王充思想의 形成 背景과 그 내용에 대한 考察 오성택, 友愛會와 靑年知識人 윤오영, 1925년 8·9월 上海 中國界 공장 파업과 노동운동의 변화 이병무, 佐野學의 민족의식에 대한 考察 이상한, 抗日民族統一戰線 形成을 둘러싼 中共 黨內葛藤에 대하여 – 王明과 毛澤東 비교를 중심으로 |
제26회 (1998년 2월) | 김기철, 明末 東林黨과 ‘市民’運動의 關係 – 參與와 그 限界性을 중심으로 김연식, 滿洲事變期 日本과 國際聯盟과의 關係 손인주, 1930년대 新生活運動의 性格과 背景 강수진, 南朝 寒門·寒人層에 대한 一考察 – 中書舍人을 중심으로 이용형, 王陽明思想의 形成過程 : 1472-1508 조성우, 3-4世紀 鮮卑拓跋部의 部族構造 – 建國期 北魏의 國家構造와 관련하여 민길홍, 阿片戰爭 直前(1836-1839) 淸政府內의 阿片對策 論議 考察 박동휘, 李立三路線의 形成과 展開過程 考察(1928-1930) – 毛澤東과의 葛藤關係를 중심으로 이종무, 베트남 西山 阮朝의 對中關係 – 淸의 侵略과 그 對應을 중심으로 |
제26회 (1998년 8월) | 손현욱, 1923년 人生觀 論爭에서 胡適과 張君매 : 그들의 立場과 政治思想 비교 전상덕, 1890년대 후반 軍部大臣 現役武官制 制定의 背景과 意味 – 藩閥·政黨간의 對立을 중심으로 강석원, 潘佩珠의 東遊運動에 대한 再檢討 홍수열, 王莽의 禪讓革命의 背景과 過程에 대한 再考察 이성림, 師復의 無政府主義(1884-1915) – 廣東 地域 初期 勞動運動과의 關聯을 중심으로 장기영, 明治 6年 ‘征韓論政變’의 背景과 影響 현정원, 明末淸初 江南의 奢侈風潮와 그 社會經濟的 背景 |
제27회 (1999년 8월) | 최진열, 三國時代 天下觀念의 現實的 變容 – ‘四方’將軍·遙領·虛封을 중심으로 임서정, 西安事變時期 張學良의 現實認識과 그 限界 |
제28회 (2000년 2월) | 양승수, 張居正(1525-1592)의 內政改革에서의 考成法의 역할과 성격 정태영, 淸末 美國의 宣敎活動과 그 性格 – 對中國 政策變化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김장생, 起源論爭을 통해 본 義和團運動 서한현, 前漢 豪俠의 특징과 변화 이상원, 春秋戰國時代 私營産業의 成長과 그 影響 한동수, 前漢 文帝의 肉刑廢止 改革과 그 背景 한상훈, 義和團運動의 性格 – 口號를 중심으로 홍준모, 官督商辦企業의 中國近代經濟에 미친 영향과 그 한계 – 輪船招商局을 중심으로 서혜원, 판보이쩌우(潘佩珠)의 對日觀 이현태, 劉師培의 無政府主義 受容과 그 性格 김빛나, 漢人 勢力 形成과 秦漢의 百越 지배 음잔디, 太平天國運動에 나타나는 女性政策과 그 한계 이미경, 러일전쟁 이후의 地方敎化政策 이상원, 5·4運動期 女性解放運動의 성격 변화 – 社會變革運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서현, 明末 奉敎士人 李之藻 天主敎觀 硏究 이지영, 光緖新政期 張之洞 敎育改革論의 展開와 그 性格 김성은, 南京政府期(1932-1938) 汪精衛의 對日戰略 변화 이행남, 杭州民變을 통해 본 明末 都市問題와 그 改革運動의 한계 |
제28회 (2000년 8월) | 이종성, 1897년 鉅野敎案의 發生과 그 影響 최승현, 陳獨秀의 트로츠키주의 受容에 관한 연구 최영진, 1920년대 초 湖南自治運動의 背景과 展開 노상호, 1884년 秩父事件에 대한 재검토 백지원, 廣州貿易體制下 淸·英 貿易關係 – ‘公行’의 기능을 중심으로 |
제29회 (2001년 2월) | 백상민, 淸末 湖南省 紳士層의 改革運動 공원국, 南京國民政府 重工業政策의 性格 – 1935년 이후의 國營重工業을 중심으로 김성엽, 1853-55년 上海 小刀會 叛亂과 廣東幇 김창일, 元의 日本遠征의 성격 명기영, 前漢 鹽鐵專賣策의 背景과 運營體制 박병욱, 明治時期 鑛産業發展과 環境問題의 대두 – 足尾廣壽事件을 중심으로 안재석, 1854년 天地會 叛亂의 性格과 그 限界 정항규, 『儒林外史』를 통해 본 士人層의 존재형태 – 科擧制와 관련하여 김여정, 戊戌變法時期 科擧制度의 改革 이혜림, 1930년대 中國 法幣改革의 性格 박소연, 日本의 大陸外交政策 變化와 제1차 英日同盟 |
제29회 (2001년 8월) | 김형규, 日本 近世後期 新興商人層의 擡頭와 그 意味 박종배, 明治期 敎育勅語의 理念과 意義 오세욱, 西安事變前 張學良과 楊虎城의 聯合過程 윤형진, 整風運動時期 中國共産黨과 지식인의 관계 김성운, 明治期 幸德秋水의 아나키즘의 受容 이명옥, 淸代 軍機處의 性格 |
제30회 (2002년 2월) | 김종현, 南京國民政府 初期의 大學院-大學區制 김수환, 德川末期 下級武士들의 動向과 尊王攘荑運動 김용석, 大生絲廠의 設立과 張건의 역할 위재천, 中國國民黨 左派의 民衆運動論과 民主主義論 이성준, 漢末 道敎의 형성과 黃巾賊의 亂 김주영, 梁수溟의 鄕村建設運動에 대한 考察 유지은, 民國時代 河北 定縣에서의 鄕村建設運動 이지선, 陳獨秀의 트로츠키주의 運動에 대한 再考察 |
제30회 (2002년 8월) | 허철민, 러일전쟁 이후 地方改良運動을 통한 敎化政策 김형규, 明治憲法體制에서의 日本軍 통수권 독립에 관한 연구 김도훈, 李大釗를 통해 본 20세기 초 중국의 마르크스주의 수용 이강규, 福澤諭吉思想의 展開에 대한 一考察 – 『文明論之槪略』과 『學問のすすめ』를 중심으로 김용찬, 西周時期 농민의 居住地 農耕地 分離와 休耕農法 안기택, 19세기 말 중국인들이 이해했던 進化論의 한 측면 – 嚴復의 『天然論』을 중심으로 김형수, 漢武帝의 封禪과 그 背景 박민수, 『蘇報』의 排滿革命과 新聞史的 意義 – 蘇報安의 發生과 그 歷史的 限界를 중심으로 배진영, 日本 近代政府와 商人 – 마츠이를 중심으로 이선희, 唐代 女性地位에 관한 一考察 – 親家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|
제31회 (2003년 2월) | 金東奎 : 中國의 傳統思想과 太平天國運動 金成敏 : 日本近世 商人 삼정가의 經營戰略 宋志炯 : 益州豪族의 蜀漢政權 受容과 對應 任壯爀 : 唐代 酒業 發達과 酒專賣制의 實施 全炫俊 : 南朝 兵戶의 性格 鄭勢永 : 19세기 싱가포르 華人社會의 構造와 矛盾 琴明媛 : 古代 中國 玉器의 性格 李東根 : 미 GHQ통치하의 日本 政治權의 相互作用 鄭明珍 : 南京 國民政府의 租稅改革과 그 性格(1929-1937) 李周炫 : 1960年代 日本經濟成長과 로봇만화 |
제31회 (2003년 8월) | 李建昊 : 滿洲事變期 日本 군부의 政治力 强化와 外交政策의 轉換 孫基哲 : 張居正 權力의 이중성 李貴貞 : 前漢의 西王母 信仰 李基千 : 唐代 府兵制의 崩壞 背景 ― 武后 執權 以後 關롱集團, 關中本位政策의 變化와 관련하여 ― 李尙鎔 : 明治初 ‘賤民解放令’의 歷史的 性格과 限界 朴培景 : 美日 交涉의 硏究 ― 태평양 戰爭을 中心으로― 李炫知 : 14세기 泰國의 華人들 崔子明 : 러일戰爭 以後 日本의 地方개량운동과 軍部·政黨·農村 三角關係의 形成 韓아름 : 戊戌變法時期 纏足解放運動에 대한 一考察 金蓮周 : 變法通義를 통해 본 장건의 思想과 活動 |
제32회 (2004년 2월) | 이동훈 : 민국 초기 송교인의 의회 민주주의 활동 장동현 : 장거정 권력의 이중성 이성관 : 미군정기 재벌해체의 경제사적 의미 이정욱 : 직풍정권 단절논쟁 이희재 : 오의 북방경략과 그 요인분석-손씨정권의 성격과 관련하여 강선희 : 1935년 폐제개혁 이전 중국은행의 발전과정과 정부의 은행정책 신영희 : “9,10세기 평안시대 御靈신앙의 성립과 祗園御靈會” 윤종석 : 비정치적 사회운동에서 정치적 사회운동으로-1920년대 상해지역 학생운동에 대한 고찰- 최미강 : 1920년대 말 중국국민당의 상인단체 통합과정 강원묵 : ‘金羅店銀南翔’론에 대한 재고찰 |
제32회 (2004년 8월) | 남이 : 紳士層의 辛亥革命 參與 意味에 對한 小考 손영신 : 17세기 베트남의 통일 김현웅 : 중일전쟁에 있어서 백단대전의 위상 김홍조 : 古代日本 平安京의 性格과 그 變化 박건대 : 淸代 雲南의 동광개발과 인구변화 신정수 : 중국 무정부주의 수용과 변용 한창익 : 남경건도 후 태평천국군의 군사전략적 착오 공병선 : 宋代 特奏名者의 정치사회적 위상 김수연 : 청초 서양선교사와 신사 정석우 : 康有爲 敎育改革論의 展開와 性格 |
제33회 (2005년 2월) | 서민엽 : 강서 시기 중국 공산당의 토지정책 이태재 :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에 관한 고찰 김대현 : 관동대지진 이후 동경의 교외개발과 사철 박정욱 : 근대일본의 군사적 성향의 제도적 원인 -통수권의 독립과 군부대신무관제를 중심으로- 허준성 : 홍수전 초기사상에 대한 재고찰 – 종교적 구세관을 중심으로 – 김나정 : 겐로쿠시대 문예발전의 성격 김소연 : 겸창전기 여성의 재산상속의 형태와 중세적 가 이석경 : 명말 동림당의 성립 배경과 활동 고찰 – 만력년간 지방에서의 활동을 중심으로 – 이지은 : ‘신청년’을 통해 본 근대중국의 여성해방론 |
제33회 (2005년 8월) | 류종현 : 한비자(韓非子) 법가사상의 고유한 특성 조지현 : 大政奉還의 성격과 그 배경 이돈진 : 淸末 교육개혁과 紳士層의 動向 이재연 : 九品官人法의 시행과 그 의미- 察擧制에서 科擧制로의 변화의 교량으로서- |
제34회 (2006년 2월) | 서주영 : 천지회의 조직 유지 메커니즘 신창하 : 만주사변 이후 중소관계의 변화 심준형 : 제1차 국공합작시기 공산당의 토지정책 양지영 : 20세기 초 중국의 신여성에 대한 사회인식 장호식 : 당대 초기의 학사그룹의 성격과 그 역할 허진미 : 천황 초상사진의 학교로의 보급과 관리 채경수 : 명청교체기 해상권력의 동향 |
제34회 (2006년 8월) | 이동욱 : 梁啓超의 朝鮮觀과 그의 思想과의 관계 박종진 : 中國 共産革命과 基督敎 三自運動 이호진 : 憲政黨 內閣의 성립과 元老 伊藤博文 하주형 : 張勛복벽의 歷史的 意味 문미정 : 韓愈와 柳宗元을 통해 살펴 본 唐代 古文運動의 政治的 性格 최선영 : 산서표호와 淸 정부 간의 파트너 관계의 형성 원인 고찰 김현경 : 몽골의 骨嵬 정벌과 아이누의 형성과정 |
제35회 (2007년 2월) | 吳珍浩: 變法期 譚嗣同의 思想과 活動 元鍾明: 19세기말 淸의 洋務企業 輪船招商局 考察 尹在虎: 1920년대 日本勞動組合法 論爭과 官僚의 役割 朱尙雲: 德川 初期 ‘가부키者’의 존재양태와 幕府의 대응 김샛별: 淸朝의 嚴禁政策과 阿片戰爭 金?鴻: 1880년대 日本의 대외인식 변화―朝鮮·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梁賢植: 1905년 美國商品不買運動의 宣傳活動과 動員戰略 崔炯遠: 제1차 국공합작 시기 국민회의운동에 관하여 李允美: 일본 근대 대학제도의 성립과 그 영향 洪赫杓: 明末 西學傳來의 思想的 意義 |
제35회 (2008년 8월) | 趙智勳: 뭉케 死後 繼承紛爭에서 아릭부케의 可能性과 敗北原因 具眞淑: 德川綱吉의 仁道的 정책―儒敎講筵과 동물보호령 신아람: 중일전쟁 초기의 도쿄 백화점 광고 분석 沈昊成: 몽골과 오르톡 商人 間 關係의 實狀―오르톡 商人의 商業운영방식을 중심으로 魯恩瑛: 國共內戰期의 自由主義 知識人 儲安平과 그 정치적 위치 曺承美: 18세기 도시 江戶의 소방조직 |
제36회 (2008년 2월) | 張奉陳: 西安事變과 國民黨정부의 대응 崔時泳: 唐律의 현실 적용 문제―<折獄龜鑑>의 사례를 중심으로 李鎔玟: 織田政權에서의 織田信忠의 位置와 役割 河昇昌: 19세기 전반 湖北 崇陽縣의 社會와 紳士―紳士 鍾人杰의 반란사례를 중심으로 趙 國: 메이지(明治) 일본의 근대적 역사 연구와 국가주의―구미(久米)사건을 중심으로 韓受靜: 隋·唐 皇后 권력과 그 실체―專橫과 不在 |
제36회 (2008년 8월) | 劉炳賢: 당의 베트남 지배체제에 대한 고찰―행정적·문화적 요인의 부상과 관련하여 張重煥: 萬寶山事件의 갈등요인으로서의 在滿 朝鮮人의 稻作慣行 나은정: 日本 17世紀 『因果物語』를 통해 본 近世 佛敎와 生活 |
제37회 (2009년 2월) | 남상백: 大東亞共榮圈과 아시아주의 성현우: 17, 18세기 소비주체로서의 오스만 도시여성―메리 몬테규의 서신에서 드러나는 여성소비와 경제적 접근에 따른 여성의 소비 주체성 오종민: 宋代 江南의 주술 풍조와 士大夫의 활동 안재익: 메이지(明治) 시대 종교 정책과 국가신도의 형성―일본 근대국가 형성 과정에 있어서의 矛盾과 그 深化 이정호: 漢 武帝시기 對 匈奴戰의 전개 이상훈: 淸末 皇室經費의 增加와 내무부의 對應―戶部로부터의 借撥을 中心으로 김재연: 청말의 티베트정책 박은하: 甲子園 야구를 통해서 본 일본의 내셔널리즘―1910~20년대의 내셔널리즘의 대중화와 관련하여 배상규: 北宋代 文字學의 思想史的 意味―王安石 『字說』을 중심으로 이주현: 前漢 元帝 이후 郊祀制度의 改革―황제권을 중심으로 김락현: 明末淸初 유럽 天文學의 수용과 논란 |
제37회 (2009년 8월) | 위터 리사 캐서린: The Rise and Fall of the Christians in the Ilkhanate(1256-1335): Focusing on the Religious Policies of the Khans |
제38회 (2010년 2월) | 한주열: 중국의 17세기 위기론에 대한 재고찰 -해외 은 유입 감소를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윤희웅: 北宋代 占城稻의 渡來와 그 社會的 反響 -導入 後 二毛作의 變化를 중심으로 조종성: 大西軍과 남명 정권의 협력 배규범: 江戶時代 三都(江戶?京都?大阪)의 變化와 商人의 성장 -17세기 후반 元祿時代 商人의 모습을 중심으로 |
제38회 (2010년 8월) | 박인현: 蒙元제국 초기 漢地에서 儒者의 위상 주익현: ‘大元’支配層의 觀念的 疆域 範疇 -14世紀 初의 大和合과 使節團의 의미 유종수: 南宋代 地域社會의 豪民 -[名公書判淸明輯]을 중심으로 |
제39회 (2011년 2월) | 안지호: 12세기 몽골고원의 역학관계의 단면 – 옹칸의 일생을 통해서본 칭기스칸의 고원 통일과정 이준석: 19세기 중앙아시아 지식인의 개혁론과 그 한계 – 발리하노프(Valikhanov)의 삶과 사상 김우종: 근대 일본 치안유지법 1차 개정과 내무관료 – 사법관료와의 대립을 중심으로 박아름: 히라츠카 라이초우의 국가의식 – 모성보호논쟁을 중심으로 |
제39회 (2011년 8월) | 박헌: ‘大津事件’을 통해 본 근대입헌정 실시의 의미와 한계 김건우: 방광사와 풍국사를 통해서 본 풍신수길의 종교정책 김진숙: 바예지드 2세(Bayezid Ⅱ), 셀림 1세(Selim Ⅰ)의 계승전과 예니체리(Janissary) |
제40회 (2012년 2월) | 소찬영: 入關前 淸朝의 經濟的 狀況 -숭덕 연간의 약탈전과 노복(aha) 계층을 중심으로 주용한: 圍剿를 통한 南京國民政府의 국가건설 시도와 그 한계 -1935년 貴州省 접수사건을 중심으로 김보혜: 大正期 政官關係의 變化와 第2次 護憲運動의 展開 -帝都復興計劃의 축소과정을 중심으로 유성호: 기타 잇키(北一輝)의 국가개조사상, 그 이상과 현실 -『일본개조법안대강』과 2·26 사건을 중심으로 최지원: 文化大革命 시기 革命委員會 활동을 통해 본 人民解放軍 한지현: 北朝에서의 流刑의 主刑化와 그 배경 |
제40회 (2012년 8월) | 임예슬: 문화대혁명 시기 ‘社隊企業’의 성장과 그 원인분석 |